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21

01. 딥러닝이란?(Introduction) 01. 딥러닝이란?(Introduction) Ian Goodfellow, Yoshua Bengio, Aaron CourvilleMIT Press, 2016. 11. 18. - 800페이지※ 이 글은 http://www.deeplearningbook.org/ 을 보고 개인적인 관점을 토대로 요약, 정리, 추가한 자료입니다. 틀리거나 잘못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1장 내용 중, AI의 Knowledge based approach에서 부터 현재 Deep learning까지 어떠한 이유에서 발전되어 왔는지를 알아보겠습니다. 기타 책의 내용인 역사적인 부분은 책의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01.1 - Knowledge base approach인공지능(이하 AI)는 고대 .. 2017. 4. 18.
간단한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만들어보기 텐서플로우로 간단한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만들어보기 이번 글에서는 MNIST 데이터 셋을 이용해서 텐서플로우에서 CNN을 구성해봅니다.즉, MNIST 데이터셋을 읽어와서 필기체숫자가 0~9 중 무엇인지를 구별해 낼 것입니다.CNN의 이론보다 '구현' 에 초점을 두고 작성하였습니다.CNN에 대해서 전혀 모르시는 분들은 이론을 보고 오시면 좋겠습니다. 1. tensorflow import + MNIST 데이터셋 읽어오기 123import tensorflow as tffrom tensorflow.examples.tutorials.mnist import input_datamnist = input_data.read_data_sets('MNIST_data', one_hot=T.. 2017. 4. 13.
제23회 SQLD 자격검정시험 후기 제23회 SQLD 자격검정시험....! 학교에서 (반강제)로 보게 되어서 갔다왔다. 12월 3일(토요일)에 동국대에 가서 봤는데...... 제발 붙기를................................................. 간단하게 후기를 쓰자면. 전체적으로 널널한 시험시간은 아니다.1시간 30분인데 개인적으로는 1시간만에 풀고 30분동안 천천히 다시 풀면서 마킹을 했는데조기퇴실 하시는 분들은 없었다. 1단원생각보다 너무어렵게 나왔다............과락만 아니길 기도하면서.......사실 공식수험서를 나름(?) 정독을 몇번하고 갔는데 문제를 읽으면서 뭔....소리지? 하는게 많았던것 같다.실제 공부할 때는 그냥 마음편히 읽지말고 이해하면서 정독해야할듯하다 대충 기억에 남는거는 식별자.. 2016. 12. 5.
그래프(Graph)의 정의와 표현 그래프(Graph)의 정의와 표현 알고리즘에 대해 공부할 때 가장 장벽이 높다고 생각하는 부분이 바로 그래프이다.이번 글에서는 기나긴 그래프 알고리즘에 들어가기에 앞서,간단하게 그래프가 무엇인지, 어디에 사용하는지,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그래프(Graph)란?그래프는 실제 세계의 현상이나 사물을 정점(Vertex)와 간선(Edge)으로 표현을 하기 위해 사용한다.실제 예를 들어보도록 하자. 위의 그림은 일상 생활에서 돈관계를 그래프 구조로 표현을 한 것이다. 민희는 철수에게 5000원을 갚아야 하고,철수는 영희에게 6000원,영희는 민수에게 100원,민수는 영희에게 500원 을 갚아야 하는 관계이다.이렇게 실제 세계의 현상, 즉 여기에서는 사물들 간의 관계를 그래프로 표현 할 수 있.. 2016. 9. 19.
max-heap, min-heap - 이진트리의 활용 heap - 이진트리의 활용 실제로 상당히 유용하게 쓰이는 heap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heap이란 이진트리를 활용한 상당히 재밌는 구조이다. 주로 max-heap, min-heap으로 가장 큰값 또는 가장 작은 값을 빠르게 찾기 위해서 사용이된다.min, max 뿐만 아니라 원하는 조건대로 compare을 하면 가장 원하는 값을 빠른시간에 뽑아낼 수 있다. 아직 설명하기 전이지만 , sort를 한 후에 골라내는게 더 빠르지 않냐 라는 생각을 할 수 도있다.이 heap의 장점이라면, 삽입, 삭제를 했을 때 추가적인 sort가 필요없다는 것이다.이 정도로 서론을 끝내고 직접 적으로 heap에 대해서 알아보자. 1. heap?heap이란 최대값 또는 최소값을 빠르게 찾기위해서 고안된 트리모양의 자료구.. 2016. 9. 14.
이진트리(Binary Tree) - 트리(Tree)의 기초 이진트리(Binary tree) - 트리(Tree)의 기초 알고리즘과 자료구조를 공부를 하다 보면 후반부에서 스슬 어려워 지기 시작하는 부분이 바로 Tree이다. 트리의 종류도 이진트리, AVL트리, 레드블랙트리, 세그먼트 트리 등등 여러가지 트리의 종류가 있다. 이번 글에서는 트리의 기초 중 가장 간단하고 실제 많이 사용하는 이진트리에서 대해 알아보자. 본격적으로 이진트리에 대해서 살펴보기에 앞서, 간단하게 트리의 관련 용어부터 정리하고 시작하겠다. 0. 트리 용어 정리 그림에 중요한 용어들을 대충 정리를 해 보았다. 하나씩 설명을 하자면, 트리의 요소 하나 하나를 나타내는 동그라미를 노드(node)라고 한다. 트리는 이 노드들 끼리 부모와 자식의 관계를 형성을 하게 된다.그 중 부모노드의 부모노드의 .. 2016. 9. 13.
반응형